본문 바로가기

IT480

LOB관련 파라미터 DB_SECUREFILE LOB 관련 글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https://bae9086.tistory.com/132 LOB(Large Object) Type 데이터Lob 타입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Oracle 8i버전 부터 LOB 데이터타입이 소개되었고, 그 이전버전에서는 LONG타입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bae9086.tistory.com LOB관련 타입(BASICFILE/SECUREFILE)을 기본적으로 셋팅하는 파라미터 값입니다.각 파일들은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구분BASICFILESECUREFILE등장 버전10g 이하(기본), 11g 이후도 지원11g부터 도입성능상대적으로 느림더 빠름(최적화된 I/O, 동적 chunk, prefetch 등)공간 효율고정 .. 2025. 5. 27.
SCAN Listener? SCAN (Single Client Access Name) 은 Oracle RAC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 단일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직역하면 하나의 클라이언트로 접속하기 위한 이름..정도가 될듯함)기존에는 RAC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대한 리스너 정보를 직접 클라이언트에 등록해야 했지만, SCAN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이름(SCAN)만 알고 있으면, Oracle이 자동으로 적절한 노드로 연결해 줍니다. 사용목적? 1)클라이언트 접속의 단순화목적이 있습니다. 각 IP를 접속해서 각 노드에 접속하던 방식과 달리 SCAN 이름 하나만 입력을 하면 알아서 노드로 붙어주고 하기 때문에 사용자입장에서는 신경쓸일이 없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2)로드밸런싱(load.. 2025. 5. 22.
Online DDL(add column default + not null) 시나리오 최근 실시간 트랜잭션이 있는 테이블에 DDL을 중단없이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을 받고 고민을 하게되었습니다.단순 add면 상관없지만 default + not null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 중에 트랜잭션은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단순 리오그 방법 중 하나로 정리를 했었는데, 사실 본래의 기능은 ONLINE으로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가상의 시나리오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이전의 제가작성한 redefinition 글https://bae9086.tistory.com/81 TABLE_REDEFINITIONTTS 후 테이블이 이상이 있거나, 특이사항이 있을 때 새로 테이블을 생성하여(안의 데이터는 같음) 오브젝트 및 구성을 새로 .. 2025. 5. 14.
recover table의 단점? recover table의 테스트 시나리오 및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참고 : https://bae9086.tistory.com/22 [RMAN]Recover Table기존에 Clone DB를 생성하여 무정지 복구를 Manual하게 수행하던 것을 RMAN이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1. 임시 경로로 필요한 파일 복원 2. 파일 경로 변경 후 삭제된 테이블 복구 3. 임시경로에서 복구된bae9086.tistory.com참고 : https://bae9086.tistory.com/491 [Recover Table] 여러 테이블 recover 및 remap 옵션recover table에 관련된 테스트를 해보며 글을 여러번 작성했었습니다. 기본 정보 및 테스트시나리오는 이전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rec.. 2025.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