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474

Online DDL(add column default + not null) 시나리오 최근 실시간 트랜잭션이 있는 테이블에 DDL을 중단없이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을 받고 고민을 하게되었습니다.단순 add면 상관없지만 default + not null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 중에 트랜잭션은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단순 리오그 방법 중 하나로 정리를 했었는데, 사실 본래의 기능은 ONLINE으로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가상의 시나리오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이전의 제가작성한 redefinition 글https://bae9086.tistory.com/81 TABLE_REDEFINITIONTTS 후 테이블이 이상이 있거나, 특이사항이 있을 때 새로 테이블을 생성하여(안의 데이터는 같음) 오브젝트 및 구성을 새로 .. 2025. 5. 14.
recover table의 단점? recover table의 테스트 시나리오 및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참고 : https://bae9086.tistory.com/22 [RMAN]Recover Table기존에 Clone DB를 생성하여 무정지 복구를 Manual하게 수행하던 것을 RMAN이 자동으로 진행합니다. 1. 임시 경로로 필요한 파일 복원 2. 파일 경로 변경 후 삭제된 테이블 복구 3. 임시경로에서 복구된bae9086.tistory.com참고 : https://bae9086.tistory.com/491 [Recover Table] 여러 테이블 recover 및 remap 옵션recover table에 관련된 테스트를 해보며 글을 여러번 작성했었습니다. 기본 정보 및 테스트시나리오는 이전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rec.. 2025. 5. 13.
리스너(LISTENER)? 오라클에서 리스너는 DB외부 사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리스너에 대한 정리를 해보고 몇가지 테스트도 해보았습니다. 리스너란?외부에서 DB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테스트가 아니라 외부접속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수요소입니다. 매커니즘외부에서 접속시도를 할때 어떤식으로 움직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사용자가 접속시도 시1. 리스너로 연결요청2. 리스너에서 프로세스 생성 및 연결요청 상속을 서버쪽에 전달3.서버에서 PGA에 세션이 사용할 메모리 생성4.서버에서 사용자에게 RESEND 패킷전송5.연결서버와 사용자가 연결이 설정되면 리스너는 해당 세션에서의 역할은 종료됩니다. 서비스 등록방식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정적등록과 동적등록입니다.정적등록은 listener.ora 파일에 .. 2025. 5. 8.
Local(window)에서 Ec2(linux)로 파일전송하기(file zilla사용) 파일질라에서 설정을 해주면 파일전송이 가능합니다. 1.클릭합니다.2. SFTP로 설정합니다.3.HOST를 ec2의 퍼블릭 IPv4 DNS로 입력해줍니다.4.사용자를 입력해줍니다. default면 ec2-user입니다.5. 키파일에 키페어파일을 등록합니다. 끝. 2025. 4. 7.